본문 바로가기

삶을 채우는 글과 말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철학편

 

 

    서구사회에서의 진리

 

⊙ 진리의 속성 : 절대, 보편, 불변

 

⊙ 진리에 대한 사람들의 네가지 태도

   ①있다(절대주의) ②없다(상대주의) ③모르겠다(불가지론), ④상관없다(실용주의)

 

⊙ '진리' 대상의 변화 : 자연신(원시) - 신화(고대) - 유일신(중세) - 이성(근대) 

 

    연구대상 질문의 변화 : 존재론(고대~중세) > 인식론(근대) > 존재론(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존재론: 존재 유무와 존재 방식탐구   (예) 신은 있는가? 신이란 무엇인가? 

인식론: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 탐구  (예) 어떻게 알았는가? 

   ① 합리론(이성을 통해) : 데카르트

    ② 경험론(경험을 통해) :  베 이 컨  

    ③ 관념론(①+②) : 칸트   

         내 눈 앞에 드러난 세계를 '현상'이라고 함. 본 다는 것은 사물 자체가 아니라 나의 머릿속에서 해석된 그 무엇이며, 

         현상 세계를 드러내는 사고의 형식, 뇌의 구조는 보편적

    ④ 회의주의 : 니체

    ⑤ 실존주의 : 야스퍼거

    ⑥ 염세주의: 쇼펜하우어 

 

    근대 합리성의 붕괴 

  ⊙ 내적요인: 근본 학문의 불완전성 (수학의 불완정성, 물리학의 불확정성, 철학의 인신론적 무정부주의)

    ex) "이 우주 안에 있는 모든 것은 증명될 수 있어도 이 우주 자체가 증명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ex)  사회현상을 연구하지만 '사회'라는 개념이 실제로 가능한지, 의심하는 학문은 '철학'

  ⊙ 외적요인 : 세계대전, 기후위기

 

    이성에 대한 학자들의 태도 

   ⊙ 이성이 문제가 아니라 이성의 잘못된 사용이 문제: 하버마스 '합리적 의사소통 추구'

   ⊙ 이성중심주의 극복하자, 해체, 반이성 : 1960년대부터 포스트모더니즘 주도

        포스트모더니즘을 '정의'하기 어려움,  '정의'도 이성적 활동.

 

    이분법 인식의 한계  

   분석의 틀로 유용하지만 하나의 세계가 다른 세계 억압, 차별하는 경우 많음.

 

 

'존재론적 전회' 라는 언어적 표현을 마주하면서 존재론적 전회가 무엇이고, 왜 존재론적 전회를 주장하는지

궁금했었는데 이 부분을 조금 해소할 수 있었음.